본문 바로가기

물리이야기

(6)
2.1 전기장 || 정전기학의 거의 모든 원리 해당 게시글은 [데이비드 제프리 그리피스의 책, Introduction to Electrodynamics]의 번역본을 학부수준의 이해를 바탕으로 제작하였습니다. 오류가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오류 제보 및 피드백은 항상 감사드립니다.2.1.1 서론(p.65)그리피스는 전자기학을 배우는 이유 중 하나가 원천전하q가 시험전하 Q에 주는 힘을 계산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원천전하와 시험전하라는 말을 알아야합니다. 둘 모두 전하는 맞지만 어떤 역할을 하냐에 따라 구분을 할 수가 있습니다. 만약 A라는 전하가 B에 힘을 준다고 가정한다면 A가 원천전하이고 B가 시험전하입니다. 원천전하는 영어로 Source Charge이고 시험전하는 Test Charge입니다. 언뜻 보기에는..
2장 '정전기학' 소개 해당 게시글은 [데이비드 제프리 그리피스의 책, Introduction to Electrodynamics]의 번역본을 학부수준의 이해를 바탕으로 제작하였습니다. 오류가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오류 제보 및 피드백은 항상 감사드립니다. 전자기학을 배워서 우리가 할 수 있는 건 뭘까요? 이를 위해선 다음을 알아야 합니다. 데이비드 제프리 그리피스의 책, Introduction to Electrodynamics에서는 원천전하와 시험전하라는 말을 쓰면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둘 모두 전하는 맞지만 어떤 역할을 하냐에 따라 구분을 할 수가 있어요. 만약 A라는 전하가 B에 힘을 준다고 가정한다면 A가 원천전하이고 B가 시험전하입니다. 원천전하는 영어로 Source Charge이고 시험전하는 Test Ch..
5장 '정자기학' 소개 해당 게시글은 [데이비드 제프리 그리피스의 책, Introduction to Electrodynamics]의 번역본을 학부수준의 이해를 바탕으로 제작하였습니다. 오류가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오류 제보 및 피드백은 항상 감사드립니다. 1장부터 4장까지는 전기장, 전기력과 관련한 내용들을 다룹니다. 5장의 내용은 자기장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1장은 수학이고... 본격적인 전자기 얘기는 2장부터고 2장에서 처음에 나오는 내용을 보면 점전하가 만드는 전기장, 전기장이 있을 때 점전하가 받는 힘(전기력), 그리고 거기서 확장해나가는 것을 기억하시길 바랍니다. 5장인 자기장도 마찬가지입니다. 아주 큰 가지를 먼저 봅시다. 자기장 B가 있는 곳에, 을 놓으면 힘을 받습니다.(로런츠 힘 법칙) 그럼 애초에..
유효숫자에 관하여 들어가는말 기본적인 내용은 크게 어렵지 않지만 적용을 하다보면 헷갈리는 게 있다. 그런 부분들을 짚어보자. 유효숫자를 쓰는 이유 유효숫자를 고려하는 이유는 계산을 할 때 실험값을 다루기 때문임을 생각하자. 가령 평균을 구할 때 다음과 같은 실수는 하지 않도록 한다: (1.222+3.222)/2 음...2는 유효숫자가 1개이니까 답은 2이다! 2는 실험값이 아니라서 고려할 이유가 없다. 그래서 2.222 유효숫자 4개짜리 답이 되어야 한다. 몇 가지 기본 규칙 어떤 수가... 0이 아니라면 모두 유효숫자이다: 234는 3개 0을 포함하면, 그 0은 유효숫자거나 그렇지 않다: 다음을 보자 0.01은 1개이다. 앞 쪽 0은 유효하지 않다. 1001은 4개이다. 0이 아닌 수 사이의 0은 유효하다. 1000은 ..
4.1 편극밀도 || 편극이란 무엇인가? 해당 게시글은 [데이비드 제프리 그리피스의 책, Introduction to Electrodynamics]의 번역본을 학부수준의 이해를 바탕으로 제작하였습니다. 오류가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오류 제보 및 피드백은 항상 감사드립니다. 4.1.1 유전체 4장의 이름은 '물질 속의 정전기장'이다. 물질은 고체도 있고 액체도 있고 금속~나무~유리 등 여러가지가 있지만 크게 분류하면 2가지, 도체 conductor 절연체 insulator(또는! 유전체 dielectrics) 가 있다고 저자는 말한다. 외부의 전기장이 걸렸을 때, 전자의 흐름이 어떻게 되는지 살펴보자. 이 부분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도체의 전자는 자유로이 움질일 수 있다는 걸 알 것이다. 그에반해 유전체 속의 전자는 원자나 분자의..
4장 '물질 속의 정전기장' 소개 1장 벡터 해석학 에서 전자기학에 필요한 벡터 지식을 다뤘고 2장 정전 기학 쿨롱 법칙부터 가우스 법칙 등의 정전기학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다뤘다. 3장 전위 정전기학에서 우리가 하려고 하는 것은 무엇인가? 전기장을 구하는 것이다. 그 방법 중 괜찮은 건 전위로부터 구하는 것이다. 전기장을 직접 구하려면 벡터연산을 해야하는 반면 전위는 스칼라이기 때문에 벡터연산보다는 다루기가 쉽다. 그래서 3장은 전반적으로 전위를 구하는 여러 방법을 소개한다. - 예제와 문제풀이가 중요 4장에서는? 물질속에서의 정전기장을 구하려고 한다. 전기적으로 중성인 원자를 '외부 전기장' 안에 두면 쌍극자모멘트p를 가진다는 내용으로 시작한다. 원자 -> 비극성 분자 -> 극성 분자 로 확장하며, 각각의 경우에 대해 살펴보며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