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는말
기본적인 내용은 크게 어렵지 않지만 적용을 하다보면 헷갈리는 게 있다. 그런 부분들을 짚어보자.
유효숫자를 쓰는 이유
유효숫자를 고려하는 이유는 계산을 할 때 실험값을 다루기 때문임을 생각하자. 가령 평균을 구할 때 다음과 같은 실수는 하지 않도록 한다: (1.222+3.222)/2 음...2는 유효숫자가 1개이니까 답은 2이다! 2는 실험값이 아니라서 고려할 이유가 없다. 그래서 2.222 유효숫자 4개짜리 답이 되어야 한다.
몇 가지 기본 규칙
어떤 수가... 0이 아니라면 모두 유효숫자이다: 234는 3개
0을 포함하면, 그 0은 유효숫자거나 그렇지 않다: 다음을 보자
- 0.01은 1개이다. 앞 쪽 0은 유효하지 않다.
- 1001은 4개이다. 0이 아닌 수 사이의 0은 유효하다.
- 1000은 1개, 1000.은 4개, 10.00은 4개. 즉, 소수점이 있으면 유효하다. 그래서 만약 결과값이 5이고, 유효숫자가 5개임을 알리고 싶다면, 5.0
Uploaded by Notion2Tistory v1.1.0